제50집 제5호 (2010년) |
이스라엘·미국 및 북한·중국 동맹의 안보딜레마 비교: 정치주도형 안보파트너십 모형을 중심으로 |
윤형호 |
아시아판 NATO구상의 좌절: 60년대 박정희정권의 아시아태평양조약기구(APATO)구상을 중심으로 |
이상현 |
사회운동론의 관점에서 본 ‘불법이주반대운동’(ДПНИ)의 성공요인 |
김태연 |
중앙아시아 시민사회 발전 가능성 연구: ‘우즈베키스탄 생태운동(Ecological Movement of Uzbekistan)’ 시민환경단체 성격 분석을 중심으로 |
이지은 |
유럽통합의 관점에서 본 독일통일: 유럽통합 진전에 따른 통일의 진전과 통합과정에서의 동유럽 통합절차와 차별성 |
안상욱 |
[쟁점주제논평] 탄도미사일 방어: 현황과 한국의 선택 |
김영호 |
부록. 165 |
제50집 제4호 (2010년) |
내재화된 위선? : ‘중국적 세계질서’의 현실주의적 재해석 |
박홍서 |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주의와 제국주의: 실존과 시의의 관점에서 |
박동천 |
일본 ‘전후지식인’의 조선경험과 아시아인식: 평화문제담화회를 중심으로 |
남기정 |
1979년 12.12 쿠데타와 카터 미 행정부의 대응: 도덕외교의 타협 |
박원곤 |
지역협력체 본부 소재지 결정에 관한 연구 |
최영종 |
'인류공동의 유산'의 국제제도화 과정: 심해저 관리를 중심으로 |
조동준 |
북한 노동문화의 형성과 균열에 관한 연구: 공업화시기를 중심으로 |
남근우 |
[비교서평] 국제정치경제학 방법론 논쟁: 벤자민 코헨(Benjamin J. Cohen)과 그 비판자들 |
이왕휘 |
부록. 199 |
제50집 제3호 (2010년) |
The Impacts of Inconsistent Status Quo Evaluations on Regional War |
Wooksung KimㆍChoong-Nam Kang |
Foreign Policy Formation of Authoritarian States in Central Asia Since 1991: Non-Institutional Domestic Factor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
Ji-Eun Lee |
How Has Korea Imagined Its Region?: Asia-Pacific, Northeast Asia, and East Asia |
Keeseok Kim |
South Korea's Strategic Relationships with Sub-Saharan Africa: Energy Security and Beyond |
Tae-Hyung Kim |
Recognition of Estranged Other: A Theoretical Reflection on Politics of Identity and Systems Integr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
Gibung Kwon |
Coping with Money: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and the Resurgence of National Corporatism |
Byoung-Inn Bai |
제50집 제2호 (2010년) |
국제관계 연구의 인식론: 웬트의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메타이론적 고찰 |
민병원 |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탈근대론과 현실주의의 비판 고찰 |
전재성 |
미국의 대외원조 정책에 대한 실증분석: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
유웅조 |
동아시아지역을 둘러싼 미중관계: 중국의 해양대국화를 중심으로 |
서정경 |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
구대열 |
중국과 미국의 반(反)위성무기 실험 경쟁에 대한 안보딜레마적 분석 |
정종필ㆍ박주진 |
탈냉전기 러시아-몽골관계의 변화: 지정학적 '완충국' 개념을 중심으로 |
제성훈 |
프랑스 이민정책과 사르코지(2002-2008년) |
박선희 |
독일의 이민정책 결정과정 분석: 2004년 이민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
유숙란 |
[비교서평]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정치학계의 기여 |
전제성 |
[쟁점주제논평] 핵무기 없는 세계: 이상과 현실 |
한용섭 |
부록. 273 |
제50집 제1호 (2010년) |
국제원조의 윤리학에 관한 小考: 토마스 포제와 존 롤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준석 |
조화세계론을 통해서 본 중국의 동아시아 질서구상: 중화질서(中華秩序)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정남 |
미국 안보정책의 결정요인: 국제환경과 정책합의 |
고봉준 |
오바마 행정부 국제주의 외교정책 이념의 역사적 유산과 실제 |
남궁 곤 |
북한 핵협상시의 검증 문제 연구 |
박동형 |
북한과 국제사회의 상호의존도를 중심으로 살펴본 북한인권개선연구 |
이유진 |
유엔 PKO활동 분석과 한국 PKO의 전략적 실용화 방향 |
조용만 |
한국의 확산방지구상(PSI) 정식참여의 의미와 협력방향 |
장은석 |
4세대 전쟁의 이론과 실제: 분란전(insurgency) 평가를 중심으로 |
조한승 |
소프트 파워와 메가 스포츠 이벤트: 도구적 관계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기웅 |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 세계 인권 선언에서 문화다양성 협약까지 |
김남국 |
지식교류와 현대한일관계: ‘합의된 지식’의 다원적 창출에 대해서 |
미우라 히로키 |
일본 ‘평화헌법’의 경로의존성 |
최기성·허진성 |
세계사회포럼과 한국사회운동: 시애틀에서 벨렝까지 |
공석기·임현진 |
중국 농촌稅費개혁과 농민소득 변화 연구: 黑龍江省 사례를 중심으로 |
유은하 |
태국의 정치개혁 확산과 내재화의 실패: 1997년 헌법 개정을 중심으로 |
이동윤 |
다문화 시대 독일의 시민권 변화: 개정국적법 및 이민법을 중심으로 |
고상두·하명신 |
호주의 다문화주의정책과 이주민 참정권 |
이규영·김경미 |
[비교서평] 현대 국제정치학에서의 권력논쟁과 한국 |
김태현 |
[쟁점주제논평] 지구시민사회: 연구동향과 쟁점 |
김의영 |
부 록. 501 |
제49집 제6호 (2009년) |
Do IMF Programs Discipline Budget Deficit?: The Effects of IMF Programs on Government Budget Balance, Expenditure, and Revenue |
Hye Jee Cho |
Conditions for Peaceful Resolutions in Territorial Disputes of Northeast Asia |
Woondo Choi |
Face-Saving, Reference Point, and North Korea's Strategic Assessments |
Jihwan Hwang |
Political Practice for Peaceful Reunification: Dialectical Strategy & Tactics |
Tae-Goo Noh |
Online Processing, Memory-based Processing, and an Integrated Model of Candidate Evaluation: A simulation-based empirical investigation |
Sung-youn Kim |
The Divisiveness of a Political Party's Nomination Process and Its Effect on U.S. Presidential Elections |
Youseop Shin |
Protest-State Interaction: A VAR Analysis of the French Labor Movement |
Jaekwon Cha |
An Empirical Study of the Types of Democratic Processes Citizens Really Want: The case of South Korea |
Ganghoon Kim |
제49집 제5호 (2009년) |
유럽의 국제정치적 근대 출현에 관한 이론적 연구: 중첩, 복합의 거시이행 |
전재성 |
자유주의 이론과 안보: 모순된 조합인가 새로운 가능성인가? |
이근욱 |
21세기 국제안보와 관련한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적실성 |
이동선 |
안보학과 구성주의: 인식론적 공헌도를 중심으로 |
최종건 |
한반도 안보문제에 대한 군비통제적 접근: 이론, 평가, 전망 |
한용섭 |
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와 제2차 북핵위기: 북한의 위기조성 전략을 중심으로 |
이상숙 |
북한의 전략문화와 핵 협상전략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조화성 |
케인스, 국제통화체제, 세계금융위기: 케인스의 복수와 귀환? |
정진영 |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조세와 국가의 경제적 역할: 비교의 시각 |
김미경 |
신생 민주주의 과거청산의 정치적 동학: 한국과 대만 사례를 중심으로 |
지은주·董思齊 |
한국 정부의 재중 탈북자 정책: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
이숙자 |
중국의 티베트 정책 고찰(1949~2008): 민족문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인식을 중심으로 |
최지영 |
중국 “성관현(省管縣)” 시스템 부활의 정치경제 |
이상국 |
스위스 다문화주의의 도면: 연방 법제도와 정당제를 중심으로 |
이옥연 |
소련 환경운동의 발전과정 및 특징: 환경단체의 조직적 특성을 중심으로 |
강윤희 |
[비교서평] 중국의 굴기(The Rise of China): 겸손과 오만 사이 |
황재호 |
[쟁점주제논평] 네트워크의 국제관계: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한계 |
민병원 |
부 록. 407 |
제49집 제4호 (2009년) |
스마트 파워의 개념적 이해와 비판적 검토: 중견국 네트워크 권력론의 시각 |
김상배 |
비극적 세계관과 아테네 민주주의 |
최영진 |
한국과 일본의 대미 동맹정책 비교연구: 미국의 군사전환전략을 중심으로 |
김순태·문정인·김기정 |
미국 의회의 중국비판과 미-중관계: 부시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
김재철 |
한국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파트너 선택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
윤성욱 |
외교정책수단으로서 비밀공작(Covert Action)의 효용성: 미국의 사례 |
전 웅 |
러시아의 선거제도 개혁: 권력관계, 확산, 제도변화 |
유진숙 |
가스카르텔 설립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변화 분석 |
이유신 |
중국 지방정부 불법토지개발 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개혁기 중앙정부의 이익과 토지제도설계 |
이기현 |
남한과 북한의 헌법제정과 국가정체성 연구: 국가 및 헌법 특성의 비교적 관계적 해석 |
박명림 |
[비교서평] 미국의 지위와 역할: 대서양과 태평양의 사이에서 |
김명섭 |
[쟁점주제논평] 핵비확산 체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
전성훈 |
부 록. 283 |
제49집 제3호 (2009년) |
Adaptational Pressure, Domestic Politics and the Evolution of the European Monetary System |
Bai, Byoung-Inn |
No Smoking in the European Parliament: Issue Saliency and Policy Preferences of Euro-parliamentarians |
Jun, Hae-Won |
External Contestation in the European Union: A Call for Further Investigation at the Nexus of European Institution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Transatlantic Relations |
Hans Schattle |
Conventional and Critical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National Security: An Analytical Survey |
Cho, Young Chul |
Evaluating the Role of Regional Expert Network in Regional Security Institution Building: ASEAN-ISI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RF |
Yu, Hyun Seok |
Information Effects Conditioned by Partisanship in Electoral Participation: An American Case and Its Implication |
Lee, So Young |
Political Orientations of Chinese Metropolitan Residents: A Survey of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Residents |
Joo, Jang-Hwan |
제49집 제2호 (2009년) |
다자안보협력의 제도화 경로: C/OSCE의 경험과 동북아 적용 방안 연구 |
서보혁 |
현대 일본의 아시아 외교 전략: 내재적 접근에서 외재적 접근으로 |
최희식 |
미국 군혁신 개념의 발전에 대한 고찰: 변형하는 변혁을 향하여 |
이성만 |
서희의 협상리더십 연구: 993년 안융진 담판을 중심으로 |
박현모 |
중유럽의 정당정치와 유럽통합: 정파적 관계를 중심으로 |
윤덕희 |
작은 정부를 만들기 위한 싱크탱크(Think Tank)의 역할: 미국, 영국의 사례와 한국 |
이연호 |
[비교서평] 에너지와 기후변화의 국제관계: 경쟁과 협력, 그리고 규범과 현실 |
이재승 |
[쟁점주제논평] 국제금융의 정치경제: 글로벌 위기와 그 대응을 중심으로 |
최영종 |
부 록. 177 |
제49집 제1호 (2009년) |
국제정치의 분석단위로서 중견국가(Middle Power): 그 개념화와 시사점 |
김치욱 |
패권국의 국제법에 대한 딜레마: 기후변화협약체제에 대한 미국의 정책 |
변진석 |
냉전초기 봉쇄전략의 탄생: 죠지 F. 케난이 유일한 설계자였나? |
김명섭 |
미국의 연방정부 권한 확대 과정에 관한 연구: 국가방위교육법(1958) 입법사례를 중심으로 |
남궁곤·이설한 |
동아시아에서의 미·중 간 세력전이가 양안관계에 미치는 영향 |
우병국 |
신자유주의 시각에서 본 미·중 경제협력: 전략경제대화(Strategic Economic Dialogue)를 사례로 |
서정경 |
중국의 아프리카대륙 전략적 가치 재발견 |
김애경 |
양안관계 개선이 동북아 국제질서에 미치는 영향: 세력전이론을 중심으로 |
전가림 |
동북공정의 내재화, 중국 동북지역 인프라개발의 전략적 함의 |
원동욱 |
중국 농촌 촌민위원회 간부들의 역할선택 연구 |
이동영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입헌주의: ‘헌법국가’로서의 정당성 확보와 딜레마 |
오향미 |
한일 안보경협 외교의 정책결정: 1981-1983년 일본의 대한국 정부차관 |
손기섭 |
국내 정치와 지역 거버넌스: 동남아의 테러방지를 위한 지역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
이동윤 |
제도가 여성의 정치대표성 확대에 미치는 영향: 아르헨티나 여성할당제 법을 중심으로 |
손혜현 |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과 국가의 전쟁수행: 개념과 과업의 분석 |
박휘락 |
[비교서평] 국제기구와 국제제도 |
박흥순 |
[쟁점주제논평] 상생공영 정책과 대북포용정책의 비교: 기능주의의 한계와 제도주의의 실험 |
박종철 |
부 록. 427 |
제48집 제5호 (2008년) |
Revisiting Tilly's Thesis: Is War Still Useful for State-making and State-consolidation? |
Yoon, Tae-Ryong |
Rawls and Natural Justice: The Law of Peoples in view of the Yin-Yang Theory in the Book of change |
Jang, Dong-Jin |
Portrait of Global Civil Society at the Bretton Woods Institutions: Civil Society Dialogue Participation, 2000-2007 |
Robert E. Kelly |
The Natur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Events: Are they mutually exclusive? |
Yi Seong-Woo |
Blunt Instruments: The European Parliament's Investiture and Censure of the EU Commission |
Jun, Hae-Won |
Why Have Attempts to Settle Inter-Korean Conflict Failed?: Lessons for Peace 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
Hong, Yong-Pyo |
제48집 제4호 (2008년) |
지역주의와 다자동맹: 동아시아에서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시론(試論) |
김성한 |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모색: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세 가지 가정을 넘어서 |
김상배 |
한국인의 국제정치적 행위의 원형을 찾아서 |
구대열 |
양자물리학이 국제정치에 던지는 메시지: 웬트의 양자역학과 양자의식가설 논의를 넘어 |
양준희 |
세계화(globalization)와 안보 연구 |
류재현 |
유로자본주의의 형성에 대한 조절이론적 설명 |
구춘권 |
미국 신보수주의의 이론적 구성과 한계 |
장의관 |
제도적 측면에서 바라본 유럽연합의 정치적 대표: 공동결정절차 (Codecision Procedure)를 중심으로 |
한정훈 |
유럽통합의 경로의존성과 창발성 |
홍기준 |
스위스 연방의 직접민주주의: 2008년 6월 1일 국민투표를 중심으로 |
장준호 |
이탈리아식 복지모델 제도화의 정치: 정당지배체제, 파편화된 선호구조, 정치적 교환 |
김혜란 |
서양정치사상 중심의 정치발전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마오쩌둥(毛澤東)사상과 덩샤오핑(鄧小平)이론 |
신봉수 |
해외진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국가이미지: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임석준·최성호 |
대만 정당체제의 분극적 경쟁과 정당의 이데올로기적 특징 |
지은주 |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한일갈등의 규범 확산: ‘다케시마(竹島)의 날’과 ‘대마도(對馬島)의 날’ 조례 제정을 중심으로 |
전재성 |
[비교서평] 동아시아 지역주의론 |
박창건 |
부 록. 393 |
제48집 제3호 (2008년) |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서 “투키디데스 읽기”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
박성우 |
다자주의는 지역주의를 통제할 수 있는가?: WTO의 지역주의 통제 |
문 돈 |
동아시아 제국주의의 시대구분: ‘제국주의 카르텔’로 본 근대 동아시아질서 |
이삼성 |
동북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동북아 균형자론’을 둘러싼 논쟁의 한계와 세력균형론의 이론적 대안 |
배종윤 |
1960년대 북한의 대중국 동맹딜레마와 ‘계산된 모험주의’ |
최명해 |
미국정치 보수화의 한 단면: 기독교 우파의 부상과 공화당 지지기반의 재편 |
유성진 |
민주주의에 있어 포용과 배제: ‘다문화사회’에서 데모스의 범위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
김범수 |
헤즈볼라(Hezbollah)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박찬기 |
부 록. 239 |
제48집 제2호 (2008년) |
동아시아 지역 내 강대국간 경쟁과 세력전이: 21세기 중국의 대일정책 |
강택구 |
중국의 문화적 팽창주의: 동북아질서에 대한 중국의 의도 분석 |
이장원·홍우택 |
정치적 거래비용과 초국가적 기구로의 권한 위임: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비판과 대안 |
배병인 |
아시아 지역주의와 미국 외교: 아시아개발은행(ADB) 설립의 역사적 분석 |
조양현 |
진화기대이론(Evolutionary Expectancy Theory)과 데탕트 시기 남북화해의 이해 |
우승지 |
북한과 미국의 관계정상화에 관한 비교연구 |
서보혁 |
한국에서의 전략적 투표: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약소 정당 지지자들의 투표 행태 |
지병근 |
인터넷과 거버넌스: ICANN의 ccNSO 형성과정에서 ccTLDs 세력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의영·이영음 |
유럽 국가들의 ‘정당체계’와 ‘정당’의 지속과 변화 양태에 관한 비교 분석 |
진영재·서명호 |
독일의 수상리더십과 정당: 제도와 전략 |
유진숙 |
최소민주주의로부터 헌정적 자유로: 러시아 민주화의 장기적 경로 |
강봉구 |
부 록. 239 |
제48집 제1호 (2008년) |
국제정치(경제)학의 미국 의존성 문제 |
김학노 |
대외정책에 있어서 역사적 비유 사용의 한계 |
윤정원 |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국의 부상에 관한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의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서진영·강수정 |
지구화시대 정치공동체의 변화: ‘신중세론’의 비판적 이해 |
이화용 |
세계화의 압력과 정치제도: 합의제민주주의 제도의 역할 |
홍재우 |
국가연합(confederation)의 역사적 재조명: 미국, 독일, 네덜란드 그리고 유럽연합 |
김준석 |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전망: 가능성과 한계 |
홍완석 |
현대 러시아인의 국가와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 모스크바 시민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장덕준·신동혁 |
‘국가 포획’ 대 ‘국가 자율성’: 올리가르히와 관련된 러시아 권력투쟁의 사례 비교 |
강봉구 |
지구화시대 디아스포라의 초국가적 활동과 모국: 동남아 화인과 중국조선족에 대한 비교연구 |
임채완 |
호주 다문화주의의 정치적 동학: 민족 정체성 형성과 인종·문화 갈등 |
문경희 |
정책네트워크 분석(Policy-Network Analysis)을 통한 대북지원정책 거버넌스 연구: 정책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
강동완 |
인도네시아 유도요노(Yudhoyono) 정부의 반부패 전략과 성과에 대한 중간적 평가 |
최경희 |
탈냉전 후 유엔 안보리의 위상변화: 군사력 사용을 중심으로 |
김열수 |
북한에서 ‘선군’의 등장과 선군사상이 갖는 함의에 관한 연구 |
진희관 |
1995년 공화당 초선 의원의 의정경험과 재선 |
가상준 |
헌법, 국가의제, 그리고 대통령 리더십: ‘건국 헌법’과 ‘전후 헌법’의 경제조항 비교를 중심으로 |
박명림 |
부 록. 455 |
제47집 제5호 (2007년) |
Why Should We Help the Poor Foreigners?
Thomas W. Pogge’s Responsibility-Based Argument for Transnational Obligation |
Kim, Bumsoo |
Where is the Framing Effect?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Data
|
Ryu, Jaesung |
What Should a Good Feminist Theory of Equality Be?
A Critique of Ronald Dworkin |
Kim, Hee-Kang |
A Neo-Classical Realist Account on External Security Behaviors of Weak Power towards Great Power:
The US-Libya from 1977 to 1992 |
Choi, Jong Kun |
North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Current Realities, and Future Prospects |
Choi, Young Jong |
Revisiting Missile Defense of the United States:
Contending Arguments and Security Implicati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
Ko, Bong-Jun |
Responding to Public:
Policy Responsiveness by Political Parties in the European Parliament |
Han, JeongHun |
제47집 제4호 (2007년) |
자유무역과 비례대표제: 자연적 친화성(Natural Affinity)에 대한 재검토 |
김미경 |
한미관계에 있어서 협력 및 분쟁관계의 변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 |
이성우 |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국제관계론 이해를 위한 시론 |
우승지 |
교범이 된 거짓말: 쿠바 미사일 위기와 1차 북핵위기에서 Trollope 기법 |
조동준 |
해방 직후 남한 좌우합작 평가: 국제적 제약 요인과 관련하여, 1946-1947 |
이완범 |
동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FTA 전략: 복합적 지역주의 |
박창건 |
정치적 전환기의 이탈리아: 걸프전과 보스니아/코소보전을 통해 본 대외정책을 중심으로 |
김종법 |
상호의존론에 입각한 러시아의 가스거래 분석: 러시아-유럽, 러시아-우크라이나 및 러시아-투르크메니스탄간의 거래를 중심으로 |
이유신 |
현대 러시아에서의 이주와 루스끼 민족주의: 구소련 공화국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태연 |
부 록. 243 |
제47집 제3호 (2007년) |
전망이론의 현실주의적 이해: 현상유지경향과 상대적 손실의 국제정치이론 |
황지환 |
반부패 국제 레짐 형성에 대한 비판이론적 접근: 신자유주의적 반부패 규범의 제도화와 반부패 전략 |
김유경 |
비토행위자(veto players), 정책신뢰성, 그리고 세계 주식시장의 발달 |
김치욱 |
탈냉전기 중미간‘협조체제’의 출현: 9.19 공동성명 후 북핵문제에 대한 중미간 협력 |
박홍서 |
한-미 FTA와 개성공단: 갈등과 쟁점 |
남궁영 |
미소공위와 미소의 조선임시정부 수립대책 |
남광규 |
미국과 중국의 군사우주 전략과 우주 공간의 군비경쟁 방지(PAROS) |
나영주 |
적녹연정의 유산과 대연정의 개혁프로젝트: 독일 개혁정치의 최근 흐름에 대한 조명 |
구춘권 |
분화하는 대륙형 자본주의: 독일과 네덜란드 비교 |
권형기 |
부 록. 217 |
제47집 제2호 (2007년) |
글로벌 거버넌스의 내재화: 인터넷 거버넌스 기구를 중심으로 |
조화순 |
인터넷 발전과 권위주의 체제는 양립 가능한가? 중국 인터넷 발전의 정치적 외부효과와 정부의 역할 |
고민경 |
1990년대 이후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 ‘푸에블로호 사건’과 비교해 본 제1, 2차‘북핵 위기’의 특징 |
박용수 |
중국의 부상과 북한의 대응전략: 편승전략과 동맹, 유화 그리고 현안별 지지정책 |
김예경 |
1990년대 이후 잔여적 한국복지국가 발달의 주요 배경 |
박용수 |
19세기 조선의 유교와 근대국제정치: 운양 김윤식의 경우 |
김성배 |
제도화된 여성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스웨덴의 페미니스트 정당(Feminist Initiative)을 중심으로 |
문경희, 전경옥, 김미성 |
민주주의 공고화와 퇴보 사이에서: 태국의 탁씬 정부와 민주주의 논쟁 |
이동윤 |
남부아프리카의 정치안보지역주의(Politico-Security Regionalism)에 대한 개념과 분석수준 고찰: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를 중심으로 |
황규득 |
부 록. 223 |
제47집 제1호 (2007년) |
이성과 현실 사이: 초기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 이론에서 변증법의 역할 |
김성수 |
상대적 국력이 국가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 경험분석을 통한 전쟁이론의 확장 |
홍우택 |
비대칭 분쟁과 약소국의 선택: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의 관점에서 본 포클랜드 전쟁 |
박상현 |
만나기, 뛰어넘기, 새로만들기: 페미니즘 국제정치학에서 안보와 그 과제 |
황영주 |
ICTs와 정당의‘적응’: 정치인 팬클럽의 역할을 중심으로 |
장우영 |
마하티르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담론 분석: 서구에 비판적인 아시아주의적 발전연대의 추구 |
이재현 |
미국의 군사변환과 그것이 한미동맹에 주는 함의: 21세기 미군의 범지구적 통제력의 영향을 중심으로 |
박기련 |
주한미군의 군사력 변화와 한국의 군사력 건설: 한국의 국방예산 증가율 및 그 추이를 중심으로 |
이필중, 김용휘 |
김대중 정부 시기 대북정책과 국가자율성에 관한 연구: 비판적 성찰과 대안의 모색 |
이경호 |
국제사회 인권압력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비판적 평가 |
이원웅 |
21세기 중.인관계의 발전: 현황, 쟁점, 전망 |
박병광 |
영국의 이라크전 참여의 동기: 구조와 행위자 |
김남국 |
독일 기민련(CDU) 기본강령 개정 논쟁: |
유진숙 |
부 록. 305 |
제46집 제5호 (2006년) |
Re-conceptualizing Hegelian Master-Slave Dialectic as Diachronic Systems Theory of Inter-societal Relations |
Kwon, Gi Bung |
The Big Influence of a Small State: The Perry Process and the Influence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 |
Ahn, Mun Suk |
Defending the National Interests: Rethinking France and the Iraq War |
Lee, Jae-Seung |
The Link Between Domestic Political Institutions and Commitments to Tariff Reduction Agreements |
Jo, Jung In |
A Trilemma of Conceptual Validity, Generality, and Causality: Research Strategies in Comparative Analysis |
·Kwon, Hyeok Yong |
The Politics of Regulatory Redistribution Revisited |
Kim, Junseok |
Political Competition and Financial Stability in the Developing World |
Choe, Wongi |
Towards Consolidation: Civic Organizations and Democratic Values in Asia |
Lee, Sangmook·Ozymy, Joshua |
Food and Nationalism: Kimchi and Korean National Identity |
CHO, Hong Sik |
The Political Economy of Reserve Accumulation in the Developing World |
Han, Intaek |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Self-Censoring Process of Racial Predispositions· |
Ryu, Jaesung |
제46집 제4호 (2006년) |
탈냉전시대의 국가정보학: 학문적 기원, 위상, 그리고 한계 |
전 웅 |
미국 외교사학과 ‘제국’ 담론의 전복: 신보수주의와 존 L. 개디스의 본질주의 외교사학 |
이삼성 |
“연방적 국가”의 탄생: 중세 말-근세 초 독일 국가 형성과정의 재조명 |
김준석 |
유럽연합의 문화정책과 정체성의 정치 |
최진우 |
국제금융의 제도화: 힘과 제도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최영종 |
IMF 내 권력관계의 분석: 2006년 지분특별증액국들을 중심으로· |
한인택 |
한미동맹과 전략적 유연성: 쟁점과 전망 |
이상현 |
동북아 소지역협력과 지역 거버넌스의 등장: 두만강유역개발계획(TRADP)을 중심으로 |
전형권 |
의원발의의 미시적 동인 분석: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장수 |
전략적 투표율의 변화, 개인의 선호도 변화 그리고 군소후보의 쇠퇴 |
최정욱 |
코포라티즘의 전환과 노동관계의 유럽화 |
구춘권 |
변화와 분열의 기로에 선 이탈리아: 2006년 이탈리아 총선 |
김종법 |
중국적 규범(norm)의 모색과 한계: 주권(sovereignty)을 중심으로 |
신봉수 |
중국 기업진단화의 정치경제: 배경, 동학, 함의 |
이홍규 |
일본 오사카 대도시권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도시재생전략을 중심으로 |
박재욱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06년도 상임위원회 보고
2006년도 특별위원회 보고
2006년도 임원명단
평생정회원 명단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편집후기 |
제46집 제3호 (2006년) |
네트워크 지식국가론: 정보화시대 국가변환의 개념화 |
김상배 |
21세기 정보혁명과 네트워크 테러리즘: “척도 없는 네트워크” 테러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성호 |
CSCE 레짐동학 (1972-1994) 분석: 권력, 이익, 지식을 중심으로 |
홍기준 |
무역자유화의 국내정치 제도적 조건: 교차국가간 비교분석 |
김미경 |
경제적 상호의존과 국제 분쟁의 상관관계: 경제적 상호의존의 측정 문제 |
이재철 |
WTO 분쟁해결제도의 효율성 상승효과 (efficiency improvement effect): 10년간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평가 |
문 돈 |
미중 양국의 패권경쟁심화와 상호대응전략의 비교 |
김재관 |
부시 행정부의 세계전략(Grand Strategy)과 미국의 이라크와 북한에 대한 외교정책 |
조용규 · 김재천 |
북한 인권문제 연구의 쟁점과 과제 |
우승지 |
일본의 정치변동과 공명당의 노선전환 |
이기완 |
이원집정부제 러시아 정부의 불안정에 관한 연구: 정부교체(government change)에 관한 실증분석 |
엄구호 · 김연규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
제46집 제2호 (2006년) |
WTO의 내국민대우 원칙과 국가의 규제주권: 주세(酒稅)분쟁사례를 중심으로 |
정진영 |
비교방법의 방법론적 정체성 |
안재흥 |
한국의 국가정체성과 문화분석 |
홍성민 |
전략적 경쟁자(strategic competitor) 혹은 이익공유자(stakeholder): 미중 군사교류에 대한 일 고찰 |
차창훈 |
미국 대외 선호도의 구조 |
김재한 |
미국 독립선언문의 사상적 기원과 제퍼슨 공화주의 |
김희강 |
중국 경제 체제전환기, 정부 산업정책의 속성과 효과간의 관계: 자동차와 전화교환기 제조업 산업정책의 비교 사례연구 |
주장환 |
유럽연합(EU) 사회정책의 초기 발달과정에서 나타난 이론적 함의 |
박용수 |
비조정 자유시장 경제체제에서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한계: 블레어정부의 뉴딜 프로그램에서의 고용주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영순 |
러시아와 중국의 관계발전 심화 요인 분석: 에너지 자원협력을 중심으로 |
이용권· 이성규 |
최소민주주의로부터 헌정적 자유로: 러시아 민주화의 장기적 경로 |
강봉구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
제46집 제1호 (2006년) |
문화의 국제관계: 네트워크 개념을 통한 이해 |
민병원 |
국제규범의 근거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장준호 |
근대한국의 동아시아 지역 인식과 지역질서 구상 |
정용화 |
전망이론을 통해 본 북한의 핵 정책 변화: 제 1, 2차 북한 핵 위기의 분석 |
황지환 |
북핵위기 시 중국의 대북 동맹안보딜레마 관리 연구: 대미관계의 변화를 주요 동인으로 |
박홍서 |
‘크리티칼 매스’와 성평등 구조 구축 과정- 한국의 민주화 이후 정치적 대표성을 중심으로 |
유숙란 |
해방 직후(1945.10-11) 정당협력운동의 실패와 이승만, 박헌영의 임정 견제 |
남광규 |
사이버공간의 글로벌 거버넌스: 개인정보 국외이전과 관련한 미국-EU의 갈등 |
조화순 |
부시 2기 외교정책의 딜레마: 미국 및 세계 여론의 제약요인 |
김성한· 정한울 |
중국의 중앙-성급정부간 관계 변화에 관한 교환네트워크 분석: 자원의 중요성과 대체성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의 적용 모색 |
이종화 |
중국 국유상업은행의 개혁: ‘시장’과 ‘계획’간 ‘이중게임’으로서의 금융개혁 |
이호철 |
영국 외교정책의 변화와 정치엘리트 집단의 인지적 한계: 미국· 유럽과의 정책공조와 협력의 선택 판단을 중심으로 |
김영준 |
영국 민주화의 여명(1832-1880): 정치, 교회, 민주주의 |
이화용 |
러시아 푸틴 정부 대외정책의 새로운 경향과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접근 |
문수언 |
이행기 사회에서의 자유주의 우파정당의 발전: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의 비교 |
유진숙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
제45집 제5호 (2005년) |
Power-Sharing Solutions on Ethnic Confli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effects on ethnic politics |
Hong, Jae Woo |
Back to the Basics: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Neorealist Paradigm |
Kim, Jangho |
Change of International Aviation Order: From International Regime Perspective |
Lee, Jong-Sik |
Resolving International Conflict in the Cultural and Identity Context: Cho, Yun Young
Interests and Identity in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France and Britain |
Cho, Hong Sik |
The Nongovernmental Nature of Korean Businesses Economic Exchanges with China prior to the Normalization of 1992 |
Cheon, Kyung-Hee |
‘The Issue of North Korean women by examining gender awareness of female defectors |
Lee, Mi-kyung |
An Empirical Discourse on Pork Barrel Politics, the Japanese Style: Exploring Cases of a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the ‘Desperado’and ‘Relaxed’Incumbents |
Yi, Okyeon |
The Origins of Korean Chaebols and their Roots in the Korean War |
Rhyu, Sang-young |
Neither Gridlock nor Moderation, but Administrative Recharge: The Irony of Divided Government in South Korea |
Lim, Seong-Ho |
제45집 제4호 (2005년) |
용과 사무라이의 결투: 중(청)· 일 전쟁(1894-95)의 군사전략적 평가 |
강성학 |
창씨개명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
구광모 |
“자유주의”열강과 해방 한국 (1945-1950) |
구대열 |
분할 점령통치와 분단과정 속에서의 남한의 국가건설: 서독의 국가건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오향미 |
다문화 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
김남국 |
한국인의 반미행동 의도에 대한 인과 분석: 미국의 이미지와 한국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김용철· 최종건 |
정당일체감에 따른 인식의 양극화: 기제와 완충요인을 중심으로 |
김장수 |
김일성 사후 북한 외교노선의 변화와 대외관계의 특징: 1995년부터 2004년까지『로동신문』의 사설분석을 중심으로 |
백성호 |
북한의 중앙· 지방관계: 중국과의 비교 |
이무철 |
중국의 ‘화평굴기’론 연구: 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 |
김애경 |
고이즈미 내각기의 중· 일 ‘72년 체제’의 갈등과 전환 |
손기섭 |
인간, 국가, 국제체제, 그리고 일본의 전쟁: 근대 일본의 전쟁원인을 통해 본 21세기 일본안보정책 평가 |
박영준 |
러시아 옐친과 푸틴기 내각개편: 결정요인, 동향, 함의 |
서동주 |
독일 정당민주주의에 대한 고찰 |
이경호 |
생산레짐과 정책레짐의 연계, 복지개혁의 정치, 그리고 노사정 관계의 변화: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비교 |
안재흥 |
선진국-개도국 통합 사례로서 JACEP(Japan-ASEA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협정에 대한 분석 |
최영종 |
퀘벡 분리주의와 신자유주의: 그 선택적 친화성의 정치경제적 설명 |
조찬수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06년도 상임위원회 보고
2006년도 특별위원회 보고
2006년도 임원명단
평생정회원 명단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편집후기 |
제45집 제3호 (2005년) |
국제정치에서 “적과 동지의 구분”에 대한 소고: 칼 슈미트(Carl Schmitt)의 “정치적인 것(das Politische)"을 중심으로 |
장준호 |
1960년대와 1970년대 세계적 데땅트의 내부구조: 지역적 주도권의 변화과정 분석 |
전재성 |
미· 중대화에서 나타난 적수게임과 동맹게임: 한반도 사례와 월남 사례 비교 연구 |
조동준 |
동맹의 변환(Transformation)과 한국인의 대미인식: 한미동맹 위기론과 대미인식 다원화 현상을 중심으로 |
이내영· 정한울 |
한국과 미국의 국회의원 표결요인 비교: 자유무역협정 비준의 경우 |
이현우 |
ODNI 창설을 통해 본 미국 정보계 개혁의 성격과 전망 |
신유섭 |
해방초 임정· 인공 정치기반의 동질성과 대립원인: 임정· 건준의 중간파 성격과 좌파의 인공수립배경을 중심으로(1945. 8~11) |
남광규 |
1949-50년 중국인민해방군 내 조선인부대의 ‘입북’에 대한 북· 중· 소 3국의 입장 |
이재훈 |
핵무기 해체사례와 북한 핵의 평화적 관리방안 |
조순구 |
중국 사회단체에 대한 통제방식의 변화: 공산당 기층조직건설의 배경과 함의를 중심으로 |
하도형 |
반응국가 가설과 일본 대외경제정책 연구: 가설의 유용성 검토 |
김기석 |
편승과 균형: 21세기 세계정치와 러-미관계 |
강봉구 |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정책 |
임성진 |
잇슈를 통해본 프랑스 2기 여성운동의 성격: 정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민정 |
식민지배하 아프리카 여성의 사회· 정치참여에 관한 고찰: 카메룬 사례를 중심으로 |
이한규 |
고등학교 국제정치교육 분석과 개선방안: 교과서 내용분석과 개념 정의를 중심으로 |
진시원 |
<부록>
국제정치논총 제45집 출판안내 |
제45집 제2호 (2005년) |
서유럽의 통합과 동아시아의 분절: 냉전초기 미국의 지정전략을 중심으로 |
김명섭 |
양자적 분쟁에 대한 상대적 국력의 영향력: 적대수준의 상승적 관점에서 |
조한승 |
대만민주화와 양안관계의 변화: 민주 평화론을 적용하여 |
김범석 |
노무현 정권 2년의 대일 외교정책의 평가와 전망 |
김호섭 |
한국에서의 중국정치 연구의 재 고찰: 자료, 방법론 및 담론을 중심으로 |
정재호· 안치영·
박만준· 장윤미·
차창훈· 박병광 |
중국 신지도부의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 대북정책과 남북통일관을 중심으로 |
김재관 |
젠더 시각에서 본 일본의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1990년대 이후의 저출산· 고령화 대책을 중심으로 |
정미애 |
영국의 경험(1945-1979)을 통해 본 생산체제: 복지체제 조응 문제의 재검토 |
김영순 |
러시아 환경NGO의 발전 현황과 전망: 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 환경NGO의 가용자원과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강윤희 |
시민사회와 글로벌 거버넌스: 캐나다의 경험과 한국적 함의 |
김의영 |
<부록>
국제정치논총 제45집 출판안내 |
제45집 제1호 (2005년) |
자산 특정성(Asset Specificity)과 정치경제제도의 다양성 |
정하용 |
초국적 반도체 생산네트워크와 동북아 경제협력 |
배영자 |
기술과 지식, 그리고 기식(技識): 정보혁명의 국제정치학적 탐구를 위한 개념적 기초 |
김상배 |
북한의 민족주의와 여성: 민족주의 담론과 여성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
박영자 |
구조개혁과 엘리트 충원을 통해 본 프랑스 경제외교 |
김성현 |
200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대통령의 후광효과에 관한 연구: CNN 출구 조사를 중심으로 |
김진하 |
대통령지지율과 2004년 대통령선거: 1952-2000년 선거결과를 중심으로 |
가상준 |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
한석희 |
체제전환과 중국의 새로운 이데올로기 모색 |
이희옥 |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
이정남 |
러시아의 지정학적 목표: 유라시아주의의 확립과 실현 |
우준모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4집 제5호 (2004년) |
Elaborating Two Issues Regarding Constructivism: Structure and Science |
Yusin Lee |
The End of Cold War and Thereafter: A Perspective of Evolutionary World Politics |
Jong Young YeYe |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and United Nations: The Case of the War in Iraq |
Changrok Soh |
Risk Considerations in Legalized Dispute Settlement(DS) Mechanisms: Risk Reduction, Risk Creation, and the WTO DS System |
Don Moon |
East Asian Regionalism and South Korea's FTA Strategy |
Young Jong Choi |
The Cultural Identity of East Asi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stcentrism and Asian Values |
Jung In Kang |
The Transformation of Northeast Asian States in the Era of Globalizaion: Regulatory State or Flexible Developmental State? |
Seung-Gook Ahn |
Security and Democratization in East Asia |
Kent E.Calder |
Asian Perspectives on Liberal Democracy: Critical Evaluation |
Dong-Jin Jang |
The Potentialities and Limitations for Chinese Democracy |
Dingping Guo |
Democratization in the World and Challenges to European Democracies |
Tatu Vanhanen |
North Korea in the 1950S: The Post Korean War Policies and Their Implications |
Yong-Pyo Hong |
제44집 제4호 (2004년) |
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 |
박현모 |
세계정치와 진화: 국제정치학의 진화론적 개념틀과 세계정치진화론에 대한 검토 |
예종영 |
칼 폴라니의 경제인류학 방법에 관한 고찰: 시장경제에 대한 대안을 찾아서 |
김영진 |
동북아 안보공동체를 위한 시론: 구성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
김유은 |
9·11 테러 이후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 목표, 수단, 방법 측면 |
박기련 |
중국의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천: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
류동원 |
북핵문제의 전개 시나리오와 해결방향 |
채규철 |
시장개방, 구조조정, 사회적 보상의 정치경제: 한국 통상정치의 경우 |
정진영 |
온건주의 연합: 북핵 문제 해법을 위한 한미일 정책 공조 |
김영재,박인휘 |
한·미 통상마찰연구: 반도체 상계관세사례 |
김석우 |
17대 총선 여성후보자의 개인적 배경과 주요정당 공천 |
서현진 |
유럽연합과 국가성의 전환: 조절이론의 네오그람시안적 확장을 통한 접근 |
구춘권 |
미국과 캐나다의 연방제도 비교 연구: 건국과정과 헌법을 중심으로 |
손병권,이옥연 |
영국과 프랑스에서 정치와 종교: 루시디 사건과 헤드스카프 논쟁을 중심으로 |
김남국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선거직 임원 선임에 관한 규정
2004년 회장 사업보고
2004년 상임위원회 활동보고
평생정회원 명단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편집후기
|
제44집 제3호 (2004년) |
동맹에서 부국강병으로: 상앙변법의 법 일원성을 중심으로 |
윤대식 |
‘자주’의 자가당착: 한반도 국제관계에서 나타난 안보모순과 동맹모순 |
조동준 |
19세기 중국 중체서용적 개혁론의 의의와 한계: 위원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
김정호 |
정보혁명과 외교정책: 이벤트데이터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 |
민병원 |
트론(TRON)의 세계정치경제: 일본형 컴퓨터표준의 좌절과 유비쿼터스 담론의 기원 |
김상배 |
동아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기원과 역사: 청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까지 |
진시원 |
러시아 푸틴정부의 정치개혁: 집권 1기 평가와 2기 전망 |
서동주 |
중국 통신산업 자유화 정책의 전개와 특징: 국가독점체제에서 국유기업 간 경쟁체제로의 전환 |
이문기 |
세계화 시기 코포라티즘의 신자유주의적 변형: 독일과 네덜란드의 예 |
정병기 |
연방주의 비교연구: ‘보조성의 원리’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생활의 패러다임 모색 |
김영일 |
정책 담론 형상의 비교연구를 통한 영국 국가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양오석 |
1960년대 북한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로동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
전미영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4집 제2호 (2004년) |
“진보를 위한 동맹(Alliance for Progress)"과 미국의 민주주의 “확장정책(Enlargement Policy)": 케네디 행정부의 도미니카 공화국 정책 사례 연구 |
김재천 |
1970년대 전반 북미관계: 남북대화, 미·중 관계 개선과의 관련하에서 |
홍석률 |
국제테러리즘과 군사적 대응 |
채재병 |
통일이후 독일의 국제적 역할 변화: 논쟁과 실천 |
고상두 |
‘적극적 국제주의’와 ‘선택적 협력’: 덴마크의 EU 공동외교안보정책(CFSP)에 대한 접근(1993-1999) |
황영주 |
중국 환경외교: 역사, 원칙, 실제 |
원동욱 |
일본과 북한관계: ‘사라진 접점’의 경제적 재해석 |
류상영 |
근대일본정치사상에 나타난 이상과 현실: 일본의 과오와 교훈 |
야가사키 히데노리 |
1960년대 북한의 국방력 강화 노선과 정치체제의 변화 |
이성봉 |
2002년 프랑스 대선을 통해본 정당체제의 변화 |
김민정 |
영리한 군중(Smart Mob)의 등장과 디지털 정치참여 |
정연정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4집 제1호 (2004년) |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
전 웅 |
문화적 접근을 통한 국제관계 연구: 갈등해소와 협상에 있어서 문화의 역할 분석 |
조윤영 |
국제협력의 정치경제: 1989-1992년과 1996-1997년 한·미 정보통신협상의 사례분석 |
조화순 |
사대·중화질서 관념의 해체과정: 박규수를 중심으로 |
정용화 |
한국역사에 있어 전쟁피로자·피납자의 송환문제: 임진·정유왜란, 정묘·병자호란, 6·25전쟁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용욱 |
신탁합의를 전후한 미·소·중의 입장과 임정의 반탁 민족자주노선의 한계: 1945. 12~1946. 1 기간의 국제협의와 임정의 대응을 중심으로 |
남광규 |
전수방위에서 적극방위로: 미일동맹 및 위협인식의 변화와 일본방위정책의 정치 |
박철희 |
중국의 부상과 책임대국론: 서구와 중국 간의 인식적 차이를 중심으로 |
한석희 |
중국의 에너지정책과 동북아협력문제 |
주재우 |
노무현 정부의 대북 인도적 사업 현안과 발전전망 |
최대석 |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적 지원 |
배성인 |
유럽통합과 민주주의의 결여 |
김남국 |
영국과 네덜란드의 산업관계개혁 비교연구: 이해관계모델과 협의경제모델의 성공조건 |
이연호 |
독일모델의 생명력: ‘독일병’ 논의에 대한 비판적 접근 |
김면회 |
러시아연방 지역정당의 변화와 발전: 스베르들롭스크주를 중심으로 |
이용권 |
조건적 정당정부 이론에 대한 경험적 고찰 |
최준영 |
한국과 미국의 의회보좌제도의 비교연구: 한국 의회보좌제도 개선방안의 모색 |
함성득,김 혁,조준우 |
중국의 정책 결정과 “민주집중제”: 1980년대 ‘합의의 정치’ 형성과 제도화 |
김흥규 |
중국의 도시개혁과 기층 거버넌스 |
김도희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3집 제5호 (2003년) |
The Causality and Elasticity of Defense |
Okyeon Yi Hong |
The Bush Doctrine: A Critical Appraisal |
Heajeong Lee |
A Study on Multilateral Approaches to Re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Maze |
Inbae Lee |
Trajectory of European Integration and Lessons for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a: The Costs of Success |
Jinwoo Choi |
Wriggling into regionalism? Political Economy of Free Trade Agreement in Northeast Asia |
Sang Hwa Chung |
EU Trade Protectionism and Korea Overseas Investment: The case of Asian Globalizing MNCs |
Doo-Jin Kim |
Unilateral versus Multilateral Strategies in the U.S. Exchange Rate Policy: Focusing on the State Centered Approach |
Ajin Choi |
Who Adjust? Winners and Losers in the British financial Policy Community in the 1980s |
Oh Suk Yang |
Subnational Elections and the Degree of Multipartism in Parliamentary Elections: Evidence from the Canadian Case |
MyoungHo Park |
Building an Environmental Regime in the Yellow Sea Sphere |
Kyung-Keun Ho |
제43집 제4호 (2003년) |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
남궁곤 |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 |
김상배 |
9·11테러와 미국의 외교노선: 연속성과 단절을 중심으로 |
안병진 |
9·11테러 사건 이후 미국 정보계 개혁의 성격과 전망 |
신유섭 |
동아시아 해양력 전이와 지역질서 |
김우상,김현일 |
한국과 미국의 대북정책: 배경과 전망 |
이병희 |
분단체제의 극복 과정과 새로운 평화체제의 모색 |
김영재 |
안보와 민주주의, 그리고 박정희의 길: 유신체제 수립원인 재고 |
마상윤 |
김정일 시대 북한의 新발전전략: 실리사회주의를 중심으로 |
김근식 |
미국 대통령직의 개혁과 향후 과제 |
주미영 |
미국의 소수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동성애자 권리문제를 중심으로 |
서현진 |
유라시아 지정학적 환경변화와 러시아의 대응: 지전략(geostrategy)의 복합화를 중심으로 |
신범식 |
러시아 연방제의 성격 고찰: 기원 및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장덕준 |
체제전환기 러시아의 여성운동 활성화 현황과 전망: 여성NGO를 중심으로 |
강윤희 |
‘일본형’ 원조외교의 특징 및 변화상 고찰: 서구 제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
박홍영 |
일본의 정당발생 과정에 관한 연구 |
이신일 |
일본 정당의 온라인화와 인터넷 선거운동 |
고선규 |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가건설사상 연방제와 의회민주주의 원칙 |
오향미 |
팔레스타인 국가건설과정에서의 내적 갈등과 협력: PLO와 하마스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최영철,정상률 |
독립협회의 국가건설사상: 서재필과 윤치호 |
홍원표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03년 상임위원회 활동보고
2003년 회관관리·운영 위원회 활동보고
2003년 임원명단
평생회원명단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3집 제3호 (2003년) |
퇴계 평화개념에 관한 검토 |
김병욱 |
서구 중심주의의 이해: 용어 및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
강정인 |
스포츠의 정치적 상징성과 상징조작 기제에 관한 연구 |
양순창 |
국회의원 정수산출을 위한 경험연구: OECD회원국들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김도종,김형준 |
동북아 지역 평화·안보와 한미안보협력체제 개선을 위한 양자-다자주의적 접근 |
류재갑 |
국제안보체제의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유럽안보체제를 중심으로 |
이수형 |
사회 구성주의를 통해 본 유럽의 정체성 |
진시원 |
한·미 자동차 협상의 정치경제: 1995년과 1997년 협상의 비교분석 |
임혜란 |
금융세계화와 유럽차원의 대응: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원과 역할 및 한계를 중심으로 |
성태규,정병기 |
한반도 긴장관계의 평화적 해결방안 |
김경호 |
북한의 대동남아 외교변화 |
박성관 |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남 전술의 특징과 대응책 |
오일환 |
1990년대 일본정치의 변동과 사회당: 사회당 노선전환을 중심으로 |
이상봉 |
전후 일본인의 평화의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형성과정과 특징 및 변화를 중심으로 |
이동율 |
미국 의회와 지역구 의원에 대한 평가에 있어 모순성과 상호 관련성 |
가상준 |
2002년 미국 하원 중간선거와 공화당의 승리: 공화당의 승리에 대한 선거구 재조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
손병권 |
영국의 신자유주의 개혁과 중앙-지방 관계의 변화 |
강원택 |
1980-90년대 금융자유화에 대한 영국의 대응: 국제정치경제 내 구조적 힘을 위한 서유럽 국가들의 전략적 선택 |
양오석 |
러시아의 사회자본과 비공식 네트워크: 노보시비르스크주의 사례 |
배정한 |
옐친의 대 한반도 정책변화와 러시아 외교의 성격 고찰 |
윤익중 |
비교 민주화 이행론과 러시아의 탈공산주의 이행 |
임경훈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3집 제2호 (2003년) |
21세기 국제사회의 안보·평화 개념과 평화지수의 적실성 |
양승함,배종윤 |
냉전체제의 극복과 집단안보의 잃어버린 10년: 평화연구의 시각에서의 비판적 재구성 |
구춘권 |
국제 법제화 현상과 법제화된 분쟁해결기제: 그 원인과 효과에 대한 고찰 |
문 돈 |
‘진보적’ 연구프로그램으로서 구성주의의 가능성과 과제: 웬트의 구성주의론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
서보혁 |
제2공화국시대의 중립화통일론과 21세기의 한반도통일: 맨스필드·김삼규·김용중의 논리분석을 중심으로 |
엄상윤 |
한미관계에 대한 미디어의 프레임연구: 여중생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
김용호,김현종 |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 하에서의 연립정권 비교연구: 1990년대의 한국과 일본 |
김기석 |
탈냉전기 한일경제관계와 플라잉 기즈 모델 |
류상영,이승주 |
전환기 자주외교의 개념과 조건: 19세기 말 조선의 대칭외교의 이론적 고찰 |
정용화 |
중국에서의 한반도연구: 한반도문제 전문가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한석희 |
대안체제로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영국과 한국의 경우 |
고세훈 |
국제환경의 변화와 북한의 자주노선 정립: 1960년대 시기를 중심으로 |
이미경 |
9·11 테러이후 미국 對 테러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전망 |
조성권 |
일본시민사회의 여성적정대표성과 시민사회의 평등화 |
정정숙 |
중국의 분권화 개혁과 지방주도 성장의 정치경제 |
정환우 |
중국의 정상외교와 강대국관계조정: 강택민 시기를 중심으로 |
박병광 |
러시아 국가성의 형성과 그 유산: 비교·역사적 접근 |
김창진 |
통일독일의 가치정향과 사회화, 정당지지 |
김영태 |
금융세계화와 독일의 금융개혁: 금융구조 변화 속에 나타난 정치적 갈등과 국가의 역할 |
한영빈 |
유럽과 러시아: 탈냉전기 새로운 안보관계의 모색에 대한 분석 |
배규성 |
인도네시아의 정치권력과 정치체제 변동: 정통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
이동윤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3집 제1호 (2003년) |
맹자의 전쟁과 반전쟁: 의전론을 중심으로 |
윤대식 |
평화, 안보 그리고 여성: “지구는 내가 지킨다”의 페미니즘적 재정의 |
황영주 |
IMT-2000 기술표준정책의 정치경제 |
조화순 |
국제체제의 극화현상과 전쟁: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인과관계의 분석 |
민병원 |
한국전쟁이 냉전체제의 구성에 미친 영향 |
김명섭 |
민주화 이행 과정에서 한국 중산층의 역할: 민주화 운동 참여 동기에 대한 분석 |
김성수 |
한국전쟁 이전 미국의 한국의 가치에 대한 평가 |
이철순 |
전환기통일담론에 나타난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통일이념의 모색 |
전미영 |
이행학적 관점에서 본 최근 북한경제 변화 연구 |
정세진 |
관여(engagement)정책의 국제정치이론적 기반과 한국의 대북 정책 |
전재성 |
대북정책 결정과정에 나타난 대통령과 여론의 영향력 변화 |
이정진 |
북한 핵문제와 미국의 ‘강압외교’: 당근과 채찍접근을 중심으로 |
윤태영 |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과 구조적 한계 |
신 진 |
김대중 정부 시기 남북한 간 상호성에 관한 연구 |
박재민 |
국가 위기관리체계 확립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길병옥,허태회 |
일본 금융자유화와 기업지배구조: 소유와 통제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
김상준 |
세계화 시대 라틴아메리카 독자적 통합주의 외교의 의미 |
강경희 |
전후미국의 정치연합과 국제경제질서 |
조찬수 |
남부 유럽의 정치 변동: 근대화 전환 과정의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을 중심으로 |
진영재,노정호 |
러시아 대외정책과 외교 엘리트의 인식 |
고상두 |
러시아 중앙-지방관계의 갈등요인의 변화와 지속성(1990-2000):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김성진 |
러시아 금융개혁의 정치경제: 친시장과 시장저항의 “이원운동(double movement)" |
김태환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2집 제4호 (2002년) |
국제관계이론의 한국적 수용과 대안적 접근 |
전재성,박건영 |
국제체제의 역학에 대한 이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갈등모델과 복합모델의 비교 |
민병원 |
투-레벨 게임의 대안으로서의 투-페이스 게임의 모색 |
정기웅 |
라카토스식 「국가안보 프로그램」 발전을 통해 본 안보 개념의 심화와 확대 |
남궁곤 |
한국외교정책 결정과정의 관료정치적 이해 |
배종윤 |
통일관련 사회단체의 이념적 차별성 연구: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인식을 중심으로 |
이정희 |
북한의 체제보전과 대외정책 변화: 진영외교에서 전방위 외교로 |
김근식 |
유럽연합의 대북한 외교의 전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박채복 |
한반도 분할의 국제정치학: 19세기말-20세기초 열강간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이완범 |
정묘호란기의 국내외정치: 국가위기시의 공론정치 |
박현모 |
글로벌화와 일본의 시민사회 |
정미애 |
일본 55년 체제 이후의 투표행태: 이념균열에서 지역균열로의 전환 |
이현출 |
신지식(新知識)의 유입과 국가개혁의 정치사상: 일본 시바 코오칸(司馬江漢)의 국가개혁론을 중심으로 |
김정호 |
산업화사회에서의 신분집단: 베버, 부르디외, 전전 일본의 샐러리맨 |
민병일 |
패권, 다극화, 그리고 중-미관계: 세계질서를 둘러싼 경쟁? |
김재철 |
중국의 국제체제 편입의 국내적 영향: 중국의 군축 및 군비통제 인식과 제도 변화 |
차창훈 |
ARF와 중국: 중국의 안보적 구속에 대한 논의 |
한석희 |
국제환경협상에 있어서 중국의 협력기회와 제약요인: 기후변화협상을 중심으로 |
전형권 |
동유럽 공산주의 계승정당의 재출현에 관한 연구: 폴란드, 헝가리, 불가리아를 중심으로 |
윤덕희 |
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 |
강윤희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02년 상임위원회 보고
2002년 회관건립 특별위원회 규정
2002년 회관관리·운영 위원회 규정
2002년 임원명단
평생회원명단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2집 제 3호 (2002년) |
국제레짐으로서 ASEAN의 운영체제: 도전과 전망 |
변창구 |
경제적 지역주의의 국제정치적 접근: 이론적 검토와 APEC에의 적용 |
유현석 |
동아시아 경제위기에 대한 통합적 분석: 대내적 요인과 대외적 요인의 연계를 중심으로 |
안승국 |
NGO 영향력 행사의 성공조건: 미국 환경NGO의 정책옹호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호 |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분야별 협력방안: 군사·안보부문 |
송병록 |
동북아 군비증강과 한국의 2중 전략: 군사협력강화와 무기도입의 다변화 전략을 중심으로 |
이승근 |
미 레이건 행정부의 대(對)나카라과 비밀전쟁(Covert War): 비밀전쟁의 동기연구 |
김재천 |
신국제질서의 제약요인과 남북 화해협력관계의 지속성: 탈냉전적 분석틀을 위한 시론 |
김태환 |
6·15 남북정상회담이후 남북한관계와 한반도평화체제 구축의 전제 |
김성주 |
근대화 이데올로기와 미국의 대한 정책: 케네디 행정부와 5·16 쿠데타 |
마상윤 |
냉전기 한일협력의 국제정치: 1980년 신군부 등장과 일본의 정치적 영향력 |
박선원 |
일본국제주의와 식민지 조선의 근대적 참정제도 |
김동명 |
유럽연합의 화폐통합에 대한 네오그람시안적 접근: 팍스 아메리카나의 위기와 유럽의 신자유주의적 재편 |
구춘권 |
강력한 대통령제에서 행정부의 구조와 ‘비공식 제도화’: 탈사회주의 러시아의 경험(1989-1998) |
배정한 |
여성의 정치대표성과 정당요인: 미국과 호주의 경우 |
이현우 |
연방주의, 재정분산과 정당간 경쟁 |
이옥연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2집 제2호 (2002년) |
홉스(Thomas Hobbes)의 국제정치관에 관한 연구 |
김영호 |
웨스트팔리아와 국제관계의 근대성: 러기의 비판적 이해 |
이혜정 |
탈냉전 이후의 국제테러리즘에 대한 분석과 대응책의 모색: 근원적 해결을 위한 자유주의적 접근에 대한 고려 |
김 혁 |
탈근대적 군사력과 군사분야혁명(RMA)의 역사적 이해 |
박인휘 |
국제 스포츠 활동과 사회통합의 상관성, 가능성과 한계 |
박호성 |
지적재산권의 세계정치경제: 미·일 마이크로프로세서 분쟁을 중심으로 |
김상배 |
일본 핵에너지 정책의 이중성에 대한 분석 |
김지연 |
9·11 테러사건을 둘러 싼 일본지식인의 반응 |
차주호 |
독일의 국가연합과 한반도 통일방안 |
한종수 |
한반도평화를 위한 하나의 대안적 모색: 다자안보협력체를 중심으로 |
김경호 |
독일 질서자유주의에서의 정치적 질서정책: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함축 |
성태규 |
갈라지는 민주화의 길: 대만과 한국 비교연구 |
김범석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2집 제1호 (2002년) |
정체성과 국제정치: <문명충돌론>의 정치사회학적 이해 |
홍성민 |
비판적 시각에서 본 헌팅턴의 문명충돌론 |
양준희 |
국제금융체제의 비판과 개혁의 모색: 대안추구의 관점에서 |
김진영 |
미국 핵정책의 변화와 한국의 안보전략: MD논의를 중심으로 |
노병렬 |
조지 부시 지지율을 통해서 본 조지 W. 부시의 지지율 |
가상준 |
아프간 전쟁 이후 미국의 군변혁: 변화된 전쟁양상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강봉구 |
연립정권 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호소카와 내각을 중심으로 |
이기완 |
일본의 중앙성청 재편에 관한 요인분석 |
이상훈 |
개혁기 중국의 지역격차 문제: 한족지구와 소수민족지구간 경제편차를 중심으로 |
박병광 |
중국의 한국전 참전과 국내정치: 참전의 대내적 요인과 영향을 중심으로 |
김옥준 |
정통성 위기의 다차원성과 정치변동: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사례 비교 |
진영재,이동윤 |
라우터파흐트(H. Lauterpacht)의 피치자 중심 주권론과 유럽인권협약의 초국가적 제도화 |
오영달 |
<서평>
6·25한국전쟁은 스탈린이 일으켰다 - 김학준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1집 제4호 (2001년) |
비정부조직(NGO)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시민사회 활성화 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일본·미국 |
김영래, 이화수 |
합리적 억지이론의 한계: 정보전을 중심으로 |
장노순 |
지역의 재등장과 새로운 아시아: 동아시아 지역화 논의와 새로운 국제공간으로서의 지역에 대한 성찰 |
이철호 |
유엔가입과 한국외교: 여우와 고슴도치 |
강성학 |
북한의 유엔외교: 유엔가입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근식 |
탈냉전기 북한외교정책의 변화요인과 대응전략: 김정일시대를 중심으로 |
임재형 |
북한의 대남 군사갈등행위의 심리적 요인 분석 |
고대원 |
북한의 IT 산업과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
배성인 |
일본의 원자력정책 결정과정: 원자력의 국제환경에 대한 국내체제의 대응을 중심으로 |
전진호 |
호소카와 내각과 정치개혁 |
이기완 |
일본 교과서 논쟁의 역사적 맥락과 정치적 의미 |
최은봉 |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과 당의 대군통제 |
나영주 |
중국의 지방 소유제 구조와 정부-기업 관계: 무석과 온주의 비교 |
전성흥 |
조선 후기의 대중국인식: 숭명과 반청, 그 이념과 실제 |
유미림 |
문명개화론의 덫:「윤치호일기」를 중심으로 |
정용화 |
롤즈의 국제사회 정의관:「만민법」을 중심으로 |
장동진 |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과 당의 대군통제 |
가상준 |
국제정치분야의 경험적 연구에 관한 분석: 국제정치논총과 한국정치학회보를 중심으로 |
이상환 |
<부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01년도 활동보고
2001년도 임원명단
평생정회원 명단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편집후기
|
제41집 제3호 (2001년) |
20세기 자유주의의 진화와 21세기의 과제: 민족주의, 다원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비환 |
월츠의 신현실주의에 대한 웬트의 구성주의의 도전 |
양준희 |
국가관계에 있어서 관성의 구성주의적 이해: 미·일 반도체 무역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
이 근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전략개념 변화에 관한 역사적, 이론적 고찰 |
이수형 |
ABM 사건과 한·미관계: ‘전략적 선택’ 모델의 적용 |
강봉구 |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제와 한반도 |
정항석 |
비핵무기국가에 대한 ‘소극적 안보보장(NSA)’의 내용과 강화방안 |
이철기 |
미국 행정부 대외정책에 대한 의회의 도전: 그 양상과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 |
임성호 |
남북한 군사적 신뢰구축 및 군비통제: 현황과 쟁점 |
황진환 |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군사화 경향에 관한 연구 |
오일환 |
21세기 일본의 선택: 대일본주의인가? 소일본주의인가? |
야가사키 히데노리 |
중국 민족주의가 대외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미 관계를 중심으로 |
이동률 |
독일연방의회 선거체계의 제도적 효과: 한국 선거체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김영태 |
1981년 이후 프랑스 사회당 정체성 위기에 관한 연구 |
조홍식 |
동유럽의 민주화와 정당체계의 안정성: 폴란드·헝가리·체코공화국을 중심으로 |
이현출 |
전위당과 노동대중 사이에서: 당조직 논쟁을 둘러싼 레닌과 룩셈부르크의 비교 |
박수헌 |
2000년 이스라엘·PLO의 국제위기: 장기갈등론적 설명 |
장경룡 |
걸프전시 요르단의 외교정책: 전균형(Omnibalancing) 시각 |
김병문 |
탈냉전 이후 아프리카 민주화 과정과 과제 |
이한규 |
걸프전시 요르단의 외교정책: 전균형(Omnibalancing) 시각 |
설 한 |
지역집단의 사회적 구성과 정치적 메커니즘 |
최영진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1집 제2호 (2001년) |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 |
김계동 |
주한미군 감축 및 위상변경에 관한 주요논의 분석: 남북정상회담을 전후하여 |
정세진 |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정책의 중간평가와 그 정례화를 대비한 개선방안의 실증적 연구 |
신 율 |
북한의 대외관계와 주체사상의 형성: 한국전쟁 시기를 중심으로 |
이미경 |
제도와 행위자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다자간 협력안보” 사례로서 CSCE 를 중심으로 |
이인배 |
1990 년대 후반 세계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실증분석: 무역, UN 투표, IGO 참여를 중심으로 |
안민호 |
개혁기 중국 농촌의 정치참여와 통제: 촌민자치제를 중심으로 |
이정남 |
비관세장벽의 정치경제: 일본의 대한시장개방에 주는 함의 |
손 열 |
미국 사회의 변화와 연방대법원의 기능: 동성애자 권리 이슈를 중심으로 |
곽진영 |
영국 신노동당의 자본주의개혁: “이해관계보유경제(The Stakeholding Economy)”의 실험과 국가성격의 변화 |
이연호 |
프랑스의 환율위기관리: 유렵통화통합에 대한 선호의 재정립 |
이재승 |
독일 슈뢰더(Schroder)정권의 신중도 노선 등장배경과 평가 |
김우준 |
러시아의 초대통령중심제: 등장 배경, 성격 및 파급효과 |
이홍섭 |
아랍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이집트와 요르단 사례를 중심으로 |
박의경 |
세계화와 한국정치경제의 가버넌스: 결사체 가버넌스를 중심으로 |
김의영 |
5·16 군사쿠데타, 군정 그리고 미국 |
김일영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제41집 제1호 (2001년) |
프루동(P. J. Proudhon)의 연방주의와 민주주의 이해: 연방주의적 유럽 질서의 모색 |
김영일 |
국제 제도화의 동인에 관한 연구: 일·미 경제관계를 중심으로 |
최영종 |
세계화와 국민국가: 한국의 경제·통상정책 운용 사례를 통해 본 세계화와 국민국가간의 관계 |
박용수 |
정보화시대에 대비한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연구 |
김주홍 |
한반도 영세중립통일방안 연구 |
강종일 |
21 세기 러시아의 동북아 국가전략 |
홍완석 |
중국과 EU 관계의 발전에 대한 연구 |
이진영 |
미국 제 104대 연방하원내 정당 리더십과 위원회에 관한 연구: 공화당 지배 하의 변화를 중심으로 |
박찬욱 |
영국 현직의원의 득표율 변화 분석, 1987-1992: 초선의원들의 부상을 중심으로 |
윤종빈 |
자본축적, 계급구조와 민주주의: 한국과 대만의 사례 |
안승국 |
경제발전, 정치안정, 그리고 이념적 조정: 권위주의로부터 신보수주의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최연식 |
시장체제하의 중국의 도시통치와 민주화: 상해시의 사례 |
정해용,박재욱 |
경제 세계화 조건하의 독일노동조합총연맹(DGB) 과 독일사회민주당(SPD)의 관계: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
김면회 |
독일통일과 구동독지역의 여성: 왜 구동독지역의 여성들은 “통일의 잃은 자”가 되었는가? |
김경미 |
아태지역의 자유주의적 경제협력과 아시아 중상주의와 갈등: APEC의 사례 |
유현석 |
세계무역기구(WTO) 지역주의 조항의 기원: 국제경제법 형성의 정치경제 |
구갑우 |
<부록>
국제정치논총 출판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