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참고자료
[Notice] 개인정보(연락처, 이메일 등) 작성 금지.
[Notice] 홈페이지 개편으로 비밀번호가 초기화되었습니다.(전체메일(2020-05-19), 홈페이지 메인 화면 공지 팝업 참고)

348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11월호) 발간
1.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에서 <동북아 이슈 리포트> 6호(11월호)를 발간하였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다 음 -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입니다.
저희 센터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미디어 중심의 외교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 대한 미·중·일 언론의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를 발간하였으며, 해당 보고서는 주요 언론 기사를 자연어 처리하여 주요 토픽과 키워드 등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여론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 6호(11월호)의 내용은 미디어외교센터 홈페이지(https://bit.ly/4a4ctuX) 혹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첨부파일: [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_6호 1부. 끝.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드리는 공문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미디어외교센터 드림 관리자 2023.12.01
1.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에서 <동북아 이슈 리포트> 6호(11월호)를 발간하였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다 음 -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입니다.
저희 센터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미디어 중심의 외교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 대한 미·중·일 언론의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를 발간하였으며, 해당 보고서는 주요 언론 기사를 자연어 처리하여 주요 토픽과 키워드 등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여론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 6호(11월호)의 내용은 미디어외교센터 홈페이지(https://bit.ly/4a4ctuX) 혹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첨부파일: [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_6호 1부. 끝.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드리는 공문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미디어외교센터 드림 관리자 2023.12.01

347
황지환 지음,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황지환 지음 | Lexington Books: New York | 2023년 11월 발행ISBN 978-1-7936-5026-9
ISBN 978-1-7936-5027-6
Jihwan Hwang analyzes Pyongyang’s nuclear policy changes over the last three decades under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Why did a weaker North Korea take the risk of standing up against the much stronger U.S. with its nuclear weapons program, even escalating the crisis to the point of a war? Later, why did North Korea change its course of action amid the crisis even though the security environment remained essentially the same? Hwang draws on the main tenets of prospect theo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rgues that Pyongyang becomes either risk-acceptant or risk-averse toward the U.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faces. When Pyongyang perceived the status quo to be deteriorating, it framed its situation as a loss and chose a risk-acceptant of confrontation to restore the status quo. Equally, when Pyongyang perceived the situation to be improving, it chose a risk-averse engagement in the domain of gain. In contrast, when Pyongyang perceived an extreme loss such as military confrontation against the United States, it would rather choose a risk-averse policy to avoid the catastrophic outcome of war. The issues of risk are central to an understanding of Pyongyang’s nuclear policy decision-making.
IntroductionChapter 1: Realism and Liberalism o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Chapter 2: Theorizing the North Korean Nuclear Risk-Taking: Prospect TheoryChapter 3: Kim Il Sung: From Confrontation to EngagementChapter 4: Kim Jong Il: From Engagement to ConfrontationChapter 5: Kim Jong Un: Between Confrontation and EngagementConclusion
Review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s arguably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facing the world. Jihwan Hwang applies prospect theory with great skill and verve to illuminate the many changes in Pyongyang's stance on this issue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e offers an insightful explanation of this phenomenon as North Korea's leaders respond to their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His comprehensive account should be of interest to all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topics of nuclear proliferation and Northeast Asia's stability."
— Steve Chan, College Professor of Distinction, Emeritus,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In this book, Hwang masterfully analyses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throughout its history and all day to the present. Highly recommended.”
— Ramon Pacheco Pardo, King's College London
In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Professor Jihwan Hwang examines the enigma of North Korean nuclear diplomacy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under three different rulers of the Kim family regime. Drawing on insights from prospect theory to explain North Korea’s risk-taking behavior, Professor Hwang offers a unique analysis to a vexing security problem that will be of great value and interest to scholars and policy practitioners alike.
— Andrew Yeo, Professor of Polit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n & Senior Fellow and SK Korea Foundation Chair, Brookings Institution
The reasons for the constant shifts in North Korea's nuclear policy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unfruitful debate that has yielded few real answers. Jihwan Hwang's systematic study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offers some critical insights into this problem. He carefully explains how an array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ave prompted shifts in North Korea's policy over the years. It is a clearly-written and incisive manuscript that needs to be read by anyone with a serious interest in understanding North Korea's seemingly unexplainable behavior.
— Gregg Brazinsky,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Hwang Jihwan masterfully assesses the balance of influence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at have shaped the risk assessments of three generations of North Korean leaders in the ongoing nuclear confron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The study provides useful and nuanced insights that should be of interest to both scholars and policymakers on why and when North Korea has changed course from confrontation to engagement and back again.”
— Scott Snyder, Co-editor,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 Kim Jong Un Regime in a Hostile World
관리자 2023.11.28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황지환 지음 | Lexington Books: New York | 2023년 11월 발행ISBN 978-1-7936-5026-9
ISBN 978-1-7936-5027-6
Jihwan Hwang analyzes Pyongyang’s nuclear policy changes over the last three decades under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Why did a weaker North Korea take the risk of standing up against the much stronger U.S. with its nuclear weapons program, even escalating the crisis to the point of a war? Later, why did North Korea change its course of action amid the crisis even though the security environment remained essentially the same? Hwang draws on the main tenets of prospect theo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rgues that Pyongyang becomes either risk-acceptant or risk-averse toward the U.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faces. When Pyongyang perceived the status quo to be deteriorating, it framed its situation as a loss and chose a risk-acceptant of confrontation to restore the status quo. Equally, when Pyongyang perceived the situation to be improving, it chose a risk-averse engagement in the domain of gain. In contrast, when Pyongyang perceived an extreme loss such as military confrontation against the United States, it would rather choose a risk-averse policy to avoid the catastrophic outcome of war. The issues of risk are central to an understanding of Pyongyang’s nuclear policy decision-making.
IntroductionChapter 1: Realism and Liberalism o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Chapter 2: Theorizing the North Korean Nuclear Risk-Taking: Prospect TheoryChapter 3: Kim Il Sung: From Confrontation to EngagementChapter 4: Kim Jong Il: From Engagement to ConfrontationChapter 5: Kim Jong Un: Between Confrontation and EngagementConclusion
Review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s arguably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facing the world. Jihwan Hwang applies prospect theory with great skill and verve to illuminate the many changes in Pyongyang's stance on this issue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e offers an insightful explanation of this phenomenon as North Korea's leaders respond to their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His comprehensive account should be of interest to all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topics of nuclear proliferation and Northeast Asia's stability."
— Steve Chan, College Professor of Distinction, Emeritus,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In this book, Hwang masterfully analyses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throughout its history and all day to the present. Highly recommended.”
— Ramon Pacheco Pardo, King's College London
In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Professor Jihwan Hwang examines the enigma of North Korean nuclear diplomacy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under three different rulers of the Kim family regime. Drawing on insights from prospect theory to explain North Korea’s risk-taking behavior, Professor Hwang offers a unique analysis to a vexing security problem that will be of great value and interest to scholars and policy practitioners alike.
— Andrew Yeo, Professor of Polit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n & Senior Fellow and SK Korea Foundation Chair, Brookings Institution
The reasons for the constant shifts in North Korea's nuclear policy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unfruitful debate that has yielded few real answers. Jihwan Hwang's systematic study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offers some critical insights into this problem. He carefully explains how an array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ave prompted shifts in North Korea's policy over the years. It is a clearly-written and incisive manuscript that needs to be read by anyone with a serious interest in understanding North Korea's seemingly unexplainable behavior.
— Gregg Brazinsky,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Hwang Jihwan masterfully assesses the balance of influence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at have shaped the risk assessments of three generations of North Korean leaders in the ongoing nuclear confron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The study provides useful and nuanced insights that should be of interest to both scholars and policymakers on why and when North Korea has changed course from confrontation to engagement and back again.”
— Scott Snyder, Co-editor,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 Kim Jong Un Regime in a Hostile World
관리자 2023.11.28

346
민병원 지음, 『네트워크 국제정치: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네트워크 국제정치: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
민병원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23년 11월 21일 발행ISBN 9791158905040
네트워크 패러다임을 통해 국제정치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새롭게 분석하다
국제정치학은 사회과학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하면서 복잡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국제정치 이론도 난립해 왔고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가장 포괄적인 범위에 걸쳐 있는 학문 체계이니만큼 다른 학문에서 도입된 개념이나 이론적 도구도 많이 존재하는데 그중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은 자연과학, 특히 수학과 물리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일찍이 경제학이나 사회학, 인류학에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이 도입되었지만, 정치학과 국제정치학에는 상대적으로 뒤늦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책은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국가의 변환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저자는 연구의 방법론과 인식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국제정치의 핵심적인 행위자와 현상을 네트워크로 이해하겠다는 존재론적 목표를 강조한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1장에서 네트워크 이론과 패러다임이 사회과학에서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네트워크라는 구조적 개념이 도입됨으로써 나타나는 패러독스 현상과 예측 불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2장에서는 역사 속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제국의 네트워크가 지닌 속성을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3장에서는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성장해 온 네트워크 국가의 모습을 검토하고, 이것이 국민 국가와 비교해 어떻게 달라진 것인지 고찰한다. 4장에서는 네트워크적 속성을 갖는 국가 유형을 네트워크 국가로 규정하고, 국가의 역할에 생겨난 변화를 메타거버넌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한다. 이어지는 5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에서 한 발 더 나아간 형태의 정치 체제로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양태에 대해 다룬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전형적인 사례로 유럽연합을 소개하고, 회원국들 사이에 이견을 조정하고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개방형 정책 조정OMC’을 집중 조명한다. 6장은 이상의 논의 내용을 취합해 전통적인 국가론 논쟁 속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국가가 어떻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 또한 네트워크 국제정치의 맥락에서 어떠한 정치적 의미를 갖는지 되새겨 보고, 이를 바탕으로 7장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를 추구하는 데 네트워크 거버넌스 개념이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국제정치학에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지난 몇십 년간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행위자와 무대로서의 국제정치의 변화를 들여다본 이 책을 통해, 네트워크 패러다임이 전통적인 국제정치 이론에 어떤 자극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기회를 갖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관리자 2023.11.23
『네트워크 국제정치: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
민병원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23년 11월 21일 발행ISBN 9791158905040
네트워크 패러다임을 통해 국제정치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새롭게 분석하다
국제정치학은 사회과학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하면서 복잡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국제정치 이론도 난립해 왔고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가장 포괄적인 범위에 걸쳐 있는 학문 체계이니만큼 다른 학문에서 도입된 개념이나 이론적 도구도 많이 존재하는데 그중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은 자연과학, 특히 수학과 물리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일찍이 경제학이나 사회학, 인류학에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이 도입되었지만, 정치학과 국제정치학에는 상대적으로 뒤늦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책은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국가의 변환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저자는 연구의 방법론과 인식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국제정치의 핵심적인 행위자와 현상을 네트워크로 이해하겠다는 존재론적 목표를 강조한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1장에서 네트워크 이론과 패러다임이 사회과학에서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네트워크라는 구조적 개념이 도입됨으로써 나타나는 패러독스 현상과 예측 불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2장에서는 역사 속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제국의 네트워크가 지닌 속성을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3장에서는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성장해 온 네트워크 국가의 모습을 검토하고, 이것이 국민 국가와 비교해 어떻게 달라진 것인지 고찰한다. 4장에서는 네트워크적 속성을 갖는 국가 유형을 네트워크 국가로 규정하고, 국가의 역할에 생겨난 변화를 메타거버넌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한다. 이어지는 5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에서 한 발 더 나아간 형태의 정치 체제로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양태에 대해 다룬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전형적인 사례로 유럽연합을 소개하고, 회원국들 사이에 이견을 조정하고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개방형 정책 조정OMC’을 집중 조명한다. 6장은 이상의 논의 내용을 취합해 전통적인 국가론 논쟁 속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국가가 어떻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 또한 네트워크 국제정치의 맥락에서 어떠한 정치적 의미를 갖는지 되새겨 보고, 이를 바탕으로 7장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를 추구하는 데 네트워크 거버넌스 개념이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국제정치학에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지난 몇십 년간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행위자와 무대로서의 국제정치의 변화를 들여다본 이 책을 통해, 네트워크 패러다임이 전통적인 국제정치 이론에 어떤 자극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기회를 갖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관리자 2023.11.23

345
니컬러스 존 스파이크먼 지음, 김연지 ·김태중·모준영·신영환 역, 『강대국 지정학: 세력균형을 통한 미국의 세계전략』
『강대국 지정학: 세력균형을 통한 미국의 세계전략』
니컬러스 존 스파이크먼 지음, 김연지 ·김태중·모준영·신영환 역 | 글항아리 | 2023년 11월 발행
미국 지정학을 확립하고 냉전시대 봉쇄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던 니컬라스 존 스파이크먼(Nicholas J. Spykman, 1893-1944)의 명저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1942)가 완역 출간되었다.
스파이크먼은 1930년대 후반부터 지리와 세계정치에 관한 논문들을 쓰다가 두 권의 명저를 남겼다. 1942년 이 책의 원저인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가 발표되었고, 그가 암으로 사망한 1944년에 강의 자료를 바탕으로 림랜드 이론을 정리한 The Geography of the Peace(『평화의 지정학』, 섬앤섬(2019)가 동료들에 의해 출간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42년에 발표된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에서 스파이크먼은 지정학을 바탕으로 미국이 취해야 할 외교정책 및 세계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국이 패권을 갖고 있는 고립된 서반구란 환상일 뿐이며 미국의 국가전략은 언제나 다른 대륙에 대한 ‘개입’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리와 ‘힘의 정치(Power Politics)’의 관점에서 설파했다.
그는 또한 전쟁 후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전망하며 미국 외교정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스파이크먼은 유라시아가 하나의 거대한 국가 또는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일본 동맹과 같은 하나의 연합 세력에 의해 지배되지 못하도록 세력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미국과 아메리카 대륙이 안전하며, 따라서 미국의 올바른 국가전략은 유라시아 지역의 세력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자’가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스파이크먼은 연합국이 전쟁에서 승리하면 독일을 분단 등을 통해 약화시키되 유럽에서 여전히 강한 국가로 남겨두어 소련에 대항하도록 해야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지정학적 잠재력 측면에서 볼 때 미래 아시아에서 걱정해야할 것은 일본이 아닌 중국이 될 것임을 예상하면서, 극동에서 세력균형이 유지되도록 미국이 일본과 손을 잡아야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역사는 그의 예언과 조언대로 진행되었다. 중국의 위협을 마주하고 있는 오늘날의 미국에 필요한 정책 방향까지 예상했다는 점에서 그의 통찰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누구든 자신이 국가전략 입안자라고 상상해보자면, 사실 지정학에 입각해서 국가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이 말은 쉽지만 실제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런데 그 방법을 이 책이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16개의 챕터를 통해 세계 지역 및 국가들의 지리를 분석하고, 힘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힘의 관계와 지리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취해야 할 최선의 전략이 무엇인지를 단계적이고 유기적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이 책은 내용 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국가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 책은 국가전략 입안자를 위한 가이드북이며 나아가 바이블인 것이다.
관리자 2023.11.07
『강대국 지정학: 세력균형을 통한 미국의 세계전략』
니컬러스 존 스파이크먼 지음, 김연지 ·김태중·모준영·신영환 역 | 글항아리 | 2023년 11월 발행
미국 지정학을 확립하고 냉전시대 봉쇄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던 니컬라스 존 스파이크먼(Nicholas J. Spykman, 1893-1944)의 명저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1942)가 완역 출간되었다.
스파이크먼은 1930년대 후반부터 지리와 세계정치에 관한 논문들을 쓰다가 두 권의 명저를 남겼다. 1942년 이 책의 원저인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가 발표되었고, 그가 암으로 사망한 1944년에 강의 자료를 바탕으로 림랜드 이론을 정리한 The Geography of the Peace(『평화의 지정학』, 섬앤섬(2019)가 동료들에 의해 출간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42년에 발표된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에서 스파이크먼은 지정학을 바탕으로 미국이 취해야 할 외교정책 및 세계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국이 패권을 갖고 있는 고립된 서반구란 환상일 뿐이며 미국의 국가전략은 언제나 다른 대륙에 대한 ‘개입’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리와 ‘힘의 정치(Power Politics)’의 관점에서 설파했다.
그는 또한 전쟁 후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전망하며 미국 외교정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스파이크먼은 유라시아가 하나의 거대한 국가 또는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일본 동맹과 같은 하나의 연합 세력에 의해 지배되지 못하도록 세력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미국과 아메리카 대륙이 안전하며, 따라서 미국의 올바른 국가전략은 유라시아 지역의 세력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자’가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스파이크먼은 연합국이 전쟁에서 승리하면 독일을 분단 등을 통해 약화시키되 유럽에서 여전히 강한 국가로 남겨두어 소련에 대항하도록 해야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지정학적 잠재력 측면에서 볼 때 미래 아시아에서 걱정해야할 것은 일본이 아닌 중국이 될 것임을 예상하면서, 극동에서 세력균형이 유지되도록 미국이 일본과 손을 잡아야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역사는 그의 예언과 조언대로 진행되었다. 중국의 위협을 마주하고 있는 오늘날의 미국에 필요한 정책 방향까지 예상했다는 점에서 그의 통찰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누구든 자신이 국가전략 입안자라고 상상해보자면, 사실 지정학에 입각해서 국가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이 말은 쉽지만 실제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런데 그 방법을 이 책이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16개의 챕터를 통해 세계 지역 및 국가들의 지리를 분석하고, 힘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힘의 관계와 지리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취해야 할 최선의 전략이 무엇인지를 단계적이고 유기적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이 책은 내용 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국가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 책은 국가전략 입안자를 위한 가이드북이며 나아가 바이블인 것이다.
관리자 2023.11.07

344
김상배 외 지음,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김상배, 유인태, 임은정, 조한승, 강하연, 양종민, 김현준, 신승휴, 박용한, 손한별 지음 | 한울아카데미 | 2023년 10월 25일 발행ISBN 978-89-460-7480-4 (93340)
한미동맹이 마주한 시대적 과제, 디지털 전환과 미중 패권경쟁, 그 속에서 한미동맹이 나아갈 방향성을 논하다
이 책은 2023년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여 한미관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전망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최근 한미관계는 정치·군사적 의미의 동맹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그리고 일방적인 의존이 아닌 서로 협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에너지, 제약, 우주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동맹을 거론할 정도로 한미 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실은 한미동맹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전환기임을 인식하게 해준다. 이에 이 책은 기술·산업, 경제·규범, 안보·군사라는 주요 분야에서 한미의 협력 가능성, 도전 과제, 한국의 전략 등을 논하여 한미동맹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이 강조하는 것은, 한미동맹은 ‘디지털 전환’과 ‘미중 패권경쟁’으로 대변되는 구조적 변화를 고려하여 미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한국이 쌓아온 기술경쟁력에 대한 분석과 미중 사이에서 한국이 중견국으로서 추구할 전략적 포지셔닝에 대한 판단이 담겨야 한다. 이 책에서 다룬 한미관계의 여러 분야의 사례들은 모두 이러한 고민과 결단의 문제들을 응축적으로 품고 있는 주제들이다.
목차
제1장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새로운 지평의 미래지향적 성찰_ 김상배
제1부|기술·산업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2장 한미 첨단기술 협력: 반도체, 차세대 인프라, 인공지능_ 유인태
제3장 한미동맹 간 에너지-그린테크 분야 협력의 가능성: 원자력과 배터리를 중심으로_ 임은정
제4장 보건 및 제약·바이오 기술과 한미협력_ 조한승
제2부|경제·규범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5장 한미 디지털 경제 및 디지털 협력의 미래_ 강하연
제6장 한미 디지털 미디어, 문화콘텐츠 교류: 웹툰을 중심으로_ 양종민
제7장 한미 가치·규범 협력: 민주주의와 인권_ 김헌준
제3부|안보·군사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8장 한미 사이버 안보협력의 진화: 복합지정학의 시각_ 신승휴
제9장 한미 우주안보/뉴스페이스 협력_ 박용한
제10장 한미동맹의 첨단 군사기술 협력_ 손한별
관리자 2023.11.07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김상배, 유인태, 임은정, 조한승, 강하연, 양종민, 김현준, 신승휴, 박용한, 손한별 지음 | 한울아카데미 | 2023년 10월 25일 발행ISBN 978-89-460-7480-4 (93340)
한미동맹이 마주한 시대적 과제, 디지털 전환과 미중 패권경쟁, 그 속에서 한미동맹이 나아갈 방향성을 논하다
이 책은 2023년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여 한미관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전망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최근 한미관계는 정치·군사적 의미의 동맹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그리고 일방적인 의존이 아닌 서로 협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에너지, 제약, 우주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동맹을 거론할 정도로 한미 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실은 한미동맹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전환기임을 인식하게 해준다. 이에 이 책은 기술·산업, 경제·규범, 안보·군사라는 주요 분야에서 한미의 협력 가능성, 도전 과제, 한국의 전략 등을 논하여 한미동맹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이 강조하는 것은, 한미동맹은 ‘디지털 전환’과 ‘미중 패권경쟁’으로 대변되는 구조적 변화를 고려하여 미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한국이 쌓아온 기술경쟁력에 대한 분석과 미중 사이에서 한국이 중견국으로서 추구할 전략적 포지셔닝에 대한 판단이 담겨야 한다. 이 책에서 다룬 한미관계의 여러 분야의 사례들은 모두 이러한 고민과 결단의 문제들을 응축적으로 품고 있는 주제들이다.
목차
제1장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새로운 지평의 미래지향적 성찰_ 김상배
제1부|기술·산업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2장 한미 첨단기술 협력: 반도체, 차세대 인프라, 인공지능_ 유인태
제3장 한미동맹 간 에너지-그린테크 분야 협력의 가능성: 원자력과 배터리를 중심으로_ 임은정
제4장 보건 및 제약·바이오 기술과 한미협력_ 조한승
제2부|경제·규범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5장 한미 디지털 경제 및 디지털 협력의 미래_ 강하연
제6장 한미 디지털 미디어, 문화콘텐츠 교류: 웹툰을 중심으로_ 양종민
제7장 한미 가치·규범 협력: 민주주의와 인권_ 김헌준
제3부|안보·군사 분야 한미동맹의 성찰
제8장 한미 사이버 안보협력의 진화: 복합지정학의 시각_ 신승휴
제9장 한미 우주안보/뉴스페이스 협력_ 박용한
제10장 한미동맹의 첨단 군사기술 협력_ 손한별
관리자 2023.11.07

343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10월호) 발간
1.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에서 <동북아 이슈 리포트> 5호(10월호)를 발간하였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다 음 -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입니다.
저희 센터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미디어 중심의 외교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 대한 미·중·일 언론의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를 발간하였으며, 해당 보고서는 주요 언론 기사를 자연어 처리하여 주요 토픽과 키워드 등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여론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 5호(10월호)의 내용은 미디어외교센터 홈페이지(https://han.gl/FdIkqm) 혹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첨부파일: 홍보협조문 1부, [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_5호 1부. 끝.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파일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미디어외교센터 드림 관리자 2023.11.02
1.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H.CMD)에서 <동북아 이슈 리포트> 5호(10월호)를 발간하였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다 음 -
안녕하세요.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입니다.
저희 센터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미디어 중심의 외교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 대한 미·중·일 언론의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를 발간하였으며, 해당 보고서는 주요 언론 기사를 자연어 처리하여 주요 토픽과 키워드 등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여론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 5호(10월호)의 내용은 미디어외교센터 홈페이지(https://han.gl/FdIkqm) 혹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첨부파일: 홍보협조문 1부, [H.CMD] 월간 동북아 이슈 리포트_5호 1부. 끝.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파일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미디어외교센터 드림 관리자 2023.11.02
내용이 없습니다.